본문 바로가기
Design/UXUI Design

[UX/UI Design] 4단계: Figma에서 프로토타입 제작

by cogito21_js 2024. 6. 8.
반응형

이제 4단계로 넘어가서 Figma를 사용하여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 방법을 배우겠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인터랙션을 추가하여 사용자 흐름을 시뮬레이션하고, 프로토타입을 테스트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4단계: Figma에서 프로토타입 제작

학습 목표:

  • Figma에서 인터랙션 추가하기
  • 프로토타입 제작 및 사용자 흐름 시뮬레이션
  • 프로토타입 테스트 및 피드백 받기

세부 학습 내용:

1. 인터랙션 추가

Figma에서 인터랙션을 추가하여 사용자 흐름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버튼 클릭, 페이지 전환 등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인터랙션 추가 단계
  1. 페이지 및 아트보드 준비: 여러 화면을 제작하여 각각의 상태를 시각화합니다.
  2. 프로토타입 모드 전환: Figma 오른쪽 상단의 "Prototype" 탭을 클릭하여 프로토타입 모드로 전환합니다.
  3. 인터랙션 설정: 요소를 선택하고, 연결선(Connector)을 드래그하여 연결할 다른 화면을 지정합니다. 트리거(예: 클릭), 액션(예: Navigate to, Open overlay)를 설정합니다.

실습: 간단한 웹페이지 프로토타입 제작

1. Figma 프로젝트 설정
  1. 새 프로젝트 생성: Figma에서 "New File"을 클릭하여 새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2. 기본 와이어프레임 준비
  1. 홈 화면: 헤더, 메인 콘텐츠, 이미지, 버튼, 푸터를 포함한 기본 와이어프레임을 만듭니다.
  2. 상세 화면: 버튼 클릭 시 이동할 상세 화면을 만듭니다. 예: 제품 상세 페이지.
3. 프로토타입 모드 전환 및 인터랙션 설정
  1. 프로토타입 모드 전환: 오른쪽 상단의 "Prototype" 탭을 클릭합니다.
  2. 인터랙션 설정: 홈 화면의 버튼을 선택하고, 연결선을 드래그하여 상세 화면으로 연결합니다.
    • 트리거: "On Click"
    • 액션: "Navigate to"
    • 대상: 상세 화면

4. 프로토타입 테스트

  1. 프레젠테이션 모드: 오른쪽 상단의 "Present" 버튼을 클릭하여 프로토타입을 실행합니다.
  2. 테스트: 프로토타입을 실제로 클릭하고, 페이지 전환이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5. 피드백 받기

  1. 공유 링크 생성: 프로토타입 모드에서 오른쪽 상단의 "Share" 버튼을 클릭하여 공유 링크를 생성합니다.
  2. 피드백 요청: 팀원이나 친구에게 링크를 공유하고, 피드백을 요청합니다.

문서화

프로토타입 문서 양식:

# 프로토타입 문서

## 프로젝트 개요
- 프로젝트명: [프로젝트명]
- 작성자: [작성자 이름]
- 작성일: [작성일]

## 프로토타입 개요
- 목적: [프로토타입의 목적 설명]
- 대상 사용자: [대상 사용자 설명]

## 주요 화면 구성
1. **홈 화면**
   - 설명: 웹페이지의 메인 화면.
   - 프로토타입 이미지: [홈 화면 와이어프레임 이미지]

2. **상세 화면**
   - 설명: 버튼 클릭 시 이동할 상세 화면.
   - 프로토타입 이미지: [상세 화면 와이어프레임 이미지]

## 인터랙션 설정
- **홈 화면 -> 상세 화면**
  - 트리거: On Click
  - 액션: Navigate to
  - 대상: 상세 화면
  - 설명: 홈 화면의 버튼 클릭 시 상세 화면으로 이동.

## 사용자 피드백 및 개선 사항
- **피드백 1**: [피드백 내용]
- **개선 사항**: [개선 계획]

## 결론 및 다음 단계
- 결론: Figma에서 간단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사용자 흐름을 시뮬레이션함.
- 다음 단계: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여 프로토타입 개선.

정리:

이 단계에서는 Figma를 사용하여 간단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인터랙션을 추가하여 사용자 흐름을 시뮬레이션하고, 프로토타입을 테스트하며 피드백을 받는 과정을 다루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