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자격증 기출문제집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 기출 문제(3회)

by cogito30 2025. 2. 17.
반응형

1. 에러 제어 기법 중 자동 재전송 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Stop and Wait ARQ    ② Go-Back N ARQ    ③ 전진에러 수정(FEC)    ④ Selective Repeat ARQ

더보기

정답: ③ 전진에러 수정(FEC)

▶ BEC(Backward Error Control) 기법에는 Stop and Wait, Go-Back N, Selective, Adaptive ARQ가 있다.

▶ FEC(Forward Error Control) 기법은 무결성 검사(CRC)를 수행

 

2. 다음 중 Linux의 명령어 해석기는?

① Shell    ② Kernel    ③ Utility Program    ④ Hierarchical File System

더보기

정답: ① Shell

▶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아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은 Shell이다. 리눅스 셀은 C Shell, Korn Shell, Born Shell, Bash Shell 등이 있으며 리눅스 표준 셀은 Bash Shell이다.

▶ Utility Program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미리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윈도우에는 메모장, 게임 같은 것이 있고 Linux에는 ls, cp, mkdir 등의 명령어가 있다.

 

3. B Class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Network ID는 128.0 ~ 191.255이고 Host ID는 0.1 ~ 255.254가 된다.

② IP Address가 150.32.25.3인 경우, Network ID는 150.32, Host ID는 25.3이 된다.

③ Multicast 등과 같이 특수한 기능이나 실험을 위해 사용된다.

④ Host ID가 255.255일 때는 메시지가 네트워크 전체로 브로드캐스트 된다.

더보기

정답: ③ Multicast 등과 같이 특수한 기능이나 실험을 위해 사용된다.

▶ D Class는 멀티캐스트용으로 사용된다.

A Class: 첫 바이트 7Bit가 네트워크 식별자. 한 네트워크에 가장 많은 호스트를 가짐

B Class: 14Bit의 네트워크 식별자. 한 네트워크에 약 2^16대의 호스트 수용

C Class: 세 번째 바이트까지 네트워크 식별자. 한 네트워크에 254대까지 수용

D Class: 멀티캐스트 주소로 사용

 

4. Linux 명령어 중 현재 디렉터리에서 바로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하는 명령어는?

① cd..    ② cd ..    ③ cd    ④ cd !

더보기

정답: ② cd ..

▶ cd ..은 리눅스에서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하는 명령어

▶ cd ~은 홈 디렉터리로 이동하는 명령어

 

5. TCP와 UDP의 차이점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TCP는 전이중방식 스트림 중심의 연결형 프로토콜이고, UDP는 비연결형 프로토콜이다.

② TCP는 전달된 패킷에 대한 수신측의 인증이 필요하지만 UDP는 그렇지 않다.

③ 일반적으로 동영상과 같은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는 UDP가 사용된다.

④ UDP는 TCP에 비해 오버헤드가 크다.

더보기

정답: ④ UDP는 TCP에 비해 오버헤드가 크다.

▶ 오버헤드는 TCP가 크다. TCP는 에러처리, 흐름제어, 혼잡제어 등 다양한 기능이 있기 때문에 오버헤드가 크다

 

6. 멀티캐스트 라우터에서 멀티캐스트 그룹을 유지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은?

① ARP    ② ICMP    ③ IGMP    ④ FTP

더보기

정답: ③ IGMP

▶ 멀티캐스트에서 특정 그룹에게만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 관리하는 프로토콜은 IGMP

 

7. DNS에서 지원하는 레코드 형식 중 역방향 조회에 사용되는 레코드는?

① A    ② AAAA    ③ PTR    ④ SOA

더보기

정답: ③ PTR

▶ IP를 입력하면 도메인 값을 반환해주는 레코드는 PTR이다.

▶ A 레코드는 도메인을 입력하면 IPv4, AAAA는 IPv6 주소 확인, SOA(Start of Authority)는 사용자 정보와 전체 설정에 대한 내용이다.

 

8. 에러 제어 기법 중 자동 재전송 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Stop and Wait ARQ

② Go-Back N ARQ

③ 전진 에러 수정(FEC)
④ Selective Repeat ARQ

더보기

정답: ③ 전진 에러 수정(FEC)

▶ 데이터 전송시 발생한 에러를 제어하는 기법인 Error Control은 수신측에서 에러를 정정해 복구하는 FEC(Forward Error Correction) 기법과 수신측에 재전송을 요구하는 BEC(Backward Error Correction) 기법이 있다.

▶ BEC 기법에 'Stop and Wait', 'Go-Back-N', 'Selective Repeat', 'Adaptive' 방식이 있다.

 

9. Windows 2008 R2 Server와 UNIX 운영체제 사이의 사용자 파일 전송을 지원하여 WIndows와 UNIX가 혼용된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파일 공유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① NFS    ② DNS    ③ NTFS    ④ DHCP

더보기

정답: ① NFS

▶ NFS(Network File System)

▶ RPC(Remote Procedure Call)를 기반으로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NFS는 윈도우와 같이 파일을 공유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파티션을 공유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SUN에서 개발되어서 대부분의 유닉스 및 리눅스에서 사용한다.

유닉스, 리눅스 계열 모든 시스템 공유가 가능하다.

 시스템 리소스를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10. 아래의 내용에서 설명하는 프로토콜은?

- 조직이나, 개체, 그리고 인터넷이나 기업 내의 인트라넷 등 네트워크 상에 있는 파일이나 장치들과 같은 자원 등의 위치를 찾을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프로토콜이다.
- Active Directory의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는데 사용된다.

① DHCP    ② SNMP    ③ LDAP    ④ Kerberos 버전 5

더보기

정답: ③ LDAP

▶ LDAP: TCP/IP를 기반으로 디렉터리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규약. 디렉터리 정보의 등록, 갱신, 검색, 삭제를 실행하며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사용자 정보를 검색

 

11. 네트워크 담당자 Kim 사원은 'www.icqa.or.kr'의 IP 주소를 이 파일에 저장하여 사이트 접속시 빠르게 실행하고자 한다. 각각의 컴퓨터에는 IP 주소에 그에 해당하는 컴퓨터 이름을 저장해 놓은 파일이 있다. 이 파일의 저장 경로와 파일명으로 올바른 것?

① C:\Windows\System32\hosts

② C:\Windows\System32\config\hosts

③ C:\Windows\System32\drivers\hosts

④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더보기

정답: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 C:\Windows\System32\drivers\etc 경로의 hosts 파일은 IP에 해당하는 도메인을 찾기 위해 제일 먼저 참조하는 파일

▶ 

 

12. TCP/IP 프로토콜 계층 구조에서 전송 계층의 데이터 단위를 부르는 이름은?

① Segment    ② Frame    ③ Datagram    ④ User Data

더보기

정답: ① Segment

▶ 전송계층의 데이터 단위는 Segment

네트워크 계층은 Datagram

데이터 링크 계층은 Frame

 

13. IEEE 802 표준과 전송방식이 옳지 않은 것은?

① IEEE 802.2 - Wireless LAN

② IEEE 802.3 - CSMA/CD

③ IEEE 802.4 - Token Bus

④ IEEE 802.5 - Token Ring

더보기

정답: ① IEEE 802.2 - Wireless LAN

▶ IEEE 802.2: LLC(Logical Link Control)

▶ IEEE 802.3: CSMA/CD

▶ IEEE 802.4: Token Bus

▶ IEEE 802.5: Token Ring

▶ IEEE 802.11:  무선 네트워크(Wireless Network)

 

14. Windows Server 2016에서 DNS 서버 기능을 설정한 후에 설정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명령어 프롬프트에서 도메인을 입력하면 해당 IP 주소를 보여주는 명령어는?

① ls    ② nslookup    ③ show    ④ pwd

더보기

정답: ② nslookup

▶ nslookup 명령어를 통해 IP와 도메인 정보를 확인

 

15. 한번 설정된 경로는 전용 경로로써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유지해야하는 전송 방식은?

① Circuit Switching    ② Packet Switching    ③ Message Switching    ④ PCB Switching

더보기

정답: ① Circuit Switching

▶ Circuit Swithcing: 전용선을 이용해서 선로를 독점하면서 통신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전화기가 이ㅣㅆ다.

▶ Circuit Switching의 가장 큰 장점은 QoS(Quality of Service)가 우수한 것

 

16. Linux 시스템에서 RPM 패키지 설치 시 기존 파일에 강제적으로 설치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옵션은?

① --nodeps    ② --noreplacefiles    ③ --force    ④ --defaultpackage

더보기

정답: ③ --force

▶ 리눅스 운영체제의 3가지 핵심 구성: 커널, 셀, 파일시스템

 

17. 정보를 실어 나르는 기본 담위를 계층별로 표시하였다. 옳지 않은 것은?

① 계층 1: X.25

② 계층 2: Frame

③ 계층 3: Packet

④ 계층 4: Segment

더보기

정답: ① 계층 1: X.25

▶ 1계층은 물리적 계층으로 Bit 단위로 전송

▶ X.25는 ITU-T에서 개발한 패킷 교환망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며 많은 에러처리 기능으로 시스템에 오버헤드를 유발

 

18. DNS 서버가 호스트 이름을 IP Address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것은?

① 정방향 조회

② 역방향 조회

③ 양방향 조회

④ 영역 설정

더보기

정답: ① 정방향 조회

▶ 호스트 이름으로 질의했을 때 IP를 응답해주는 것을 정방향 조회라고 하고, IP로 질의했을 때 호스트 이름을 응답해주는 것을 역방향 조회(PTR)이라 함

 

19. Windows 2003 Server가 설치되면서 자동 생성되는 그룹으로 삭제가 불가능한 그룹은?

① Local Group    ② System Group    ③ Built-In Group    ④ Application Group

더보기

정답: ③ Built-In Group

 

20. OSI 7계층 중 비트를 데이터 프레임으로 전환하며, 순환 잉여 검사(CRC)를 수행하는 계층은?

① 트랜스포트 계층    ② 네트워크 계층    ③ 데이터링크 계층    ④ 물리적 계층

더보기

정답: ③ 데이터링크 계층

▶ 프레임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은 데이터링크 계층이고 프레임에 FCS(Frame Check Sequence)는 CRC의 기능을 수행. 프레임의 무결성을 검사

 

21. TFT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어이다.

② 네트워크를 통한 파일 전송 서비스이다.
③ 3방향 핸드셰이킹 방법인 TCP 세션을 통해 전송한다.

④ 신속한 파일의 전송을 원할 경우에는 FTP보다 훨씬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보기

정답: ③ 3방향 핸드셰이킹 방법인 TCP 세션을 통해 전송한다.

▶ TFTP는 TCP를 사용하지 않고 UDP를 사용하므로 3-way Handshaking 과정이 없다.

 

22. Windows Server 2008 R2 서버상에서 네트워크 모니터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성능 모니터의 리소스 모니터를 통해 네트워크 이용 현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② 작업 관리자의 네트워킹 탭을 통해 네트워크 이용 현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③ 바이트 처리량이란 현재 연결 대역폭 중에 트래픽 송수신에 사용하는 비율이다.

④ 유니캐스트 패킷에 대한 통계만 볼 수 있고 비유니캐스트 패킷에 대해서는 볼 수 없다.

더보기

정답: ④ 유니캐스트 패킷에 대한 통계만 볼 수 있고 비유니캐스트 패킷에 대해서는 볼 수 없다.

▶ 모니터링 설정에서 모든 패킷을 수신받을 수 있도록 지정할 수 있다.

 

23. IPv4 Class 중에서 멀티캐스트 용도로 사용되는 것은?

① B Class    ② C Class    ③ D Class    ④ E Class

더보기

정답: ③ D Class

▶ IPv4의 A, B, C Class는 네트워크와 호스트 주소를 나누어 효율적인 자원관리를 위하여 사용하고 D Class는 멀티캐스트(IGMP), E Class는 예비 주소로 사용하지 않고 있다.

▶ A Class: 0.0.0.0-127.255.255.255

▶ B Class: 128.0.0.0-191.255.255.255

▶ C Class: 192.0.0.0-223.255.255.255

▶ D Class: 224.0.0.0-239.255.255.255

▶ E Class: 240.0.0.0-255.255.255.255

 

24. 프로토콜 계층 구조상의 기본 구성요소 중 실체(Entity) 간의 통신 속도 및 메시지 순서를 위한 제어정보는?

① 타이밍(Timing)    ② 의미(Sematics)    ③ 구문(Syntax)    ④ 처리(Process)

더보기

정답: ① 타이밍(Timing)

 

25. 다음 TCP 패킷의 플래그 중에서 연결이 정상적으로 끝남을 의미하는 것은?

① FIN    ② URG    ③ ACK    ④ RST

더보기

정답: ① FIN

▶ FIN Flag는 TCP에서 정상적인 연결 종료 시에 사용된다.

▶ SYN: TCP 연결 시에 동기화 요구

▶ ACK: 응답에 대한 확인

▶ PSH: 데이터 버퍼링을 하지 않고 수신자에게 송신 요구

▶ URG: 긴급 포인터 Flag

▶ FIN: 정상 접속 종료

▶ RST: 비정상 종료를 위한 Reset

 

26. IP 데이터그램이 세 개의 데이터그램으로 분할(Fragmentation)되는 경우 다음 중 옳은 것은?

① 세 개의 데이터그램 모두 'Do Not Fragment' 비트가 1로 설정된다.

② 세 개의 데이터그램 모두 'More Fragement' 비트가 1로 설정된다.
③ 세 개의 데이터그램 모두 동일한 'Identification' 값을 갖는다.

④ 세 개의 데이터그램 모두 동일한 'Offset' 값을 갖는다.

더보기

정답:  세 개의 데이터그램 모두 동일한 'Identification' 값을 갖는다.

▶ 패킷이 분할되어서 식별자는 모두 동일한 식별자를 가지고 있다. 패킷이 분할되어 있지 않으면 'Do Not Fragement'이고 0으로 설정

 

27. Linux 시스템에 좀비 프로세스가 많이 생겨 시스템을 재부팅하려고 한다. 현재 Linux 시스템에 접속해 있는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 5분 후에 시스템을 재부팅시키는 명령어는?

① shutdown -r now 'Warning! After 5 minutes will be system shutdown!!'

② shutdown now 'Warning! After 5 minutes will be system shutdown!!'

③ shutdown -r +5 'Warning! After 5 minutes will be system shutdown!!'

④ shutdown +5 'Warning! After 5 minutes will be system shutdown!!'

더보기

정답:  shutdown -r +5 'Warning! After 5 minutes will be system shutdown!!'

▶ shutdown 명령어와 옵션으로 시스템을 재부팅할 수 있는 재시작 옵션은 -r이고 이후 시작 시간을 설정하거나 now 명령어로 즉시 재부팅을 실행 할 수 있다.

 

28. Windows 2003 Server에서 IIS 웹 서버를 설치한 다음에는 기본 웹사이트 등록 정보를 수정하여야 한다. 하루 평균 방문하는 사용자 수를 설정하기 위해서 수정할 부분은?

① 성능 탭    ② 연결 수 제한 탭    ③ 연결 시간 제한 탭    ④ 문서 탭

더보기

정답: ① 성능 탭

▶ 성능 탭에서 하루 평균 사용자 수를 설정한다.

 

29. Windows 2008 R2 Server의 보안템플릿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보안 관련한 설정들을 미리 정의해 놓은 템플릿이다.

② 모든 그룹 정책에서 '가져오기'하여 적용할 수 있다.
③ 보안 템플릿은 그룹정책의 컴퓨터 구성에만 적용되고 사용자 구성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④ 무선 네트워크, 공개키, 소프트웨어 제한, 그리고 IP 보안에 적용되는 정책과 같이 몇몇 보안 설정들드 보안 템플릿에 포함된다.

더보기

정답: ④ 무선 네트워크, 공개키, 소프트웨어 제한, 그리고 IP 보안에 적용되는 정책과 같이 몇몇 보안 설정들드 보안 템플릿에 포함된다.

▶ 보안 템플릿은 계정 잠금 정책, 암호 정책, 사용자 권한 할당, 보안 옵션, 감사 정책, 공개키 정책, 레지스트리 보안, IPSEC, 파일시스템, 시스템 서비스 등의 정책을 하나의 파일로 관리

 

30. Linux의 'vi'명령어 중 변경된 내용을 저장한 후 종료하고자 할 때 사용해야 할 명령어는?

① :wq    ② :q!    ③ :e!    ④ :$

더보기

정답: ① :wq

▶ 'w'의 의미는 기록. 'q'는 종료의 의미. "!"는 취소의 의미

 

31. 네트워크 장비 중 분배의 기능을 담당하고 여러 대의 PC를 서로 연결해 줄 때 사용하는 것은?

① Hub    ② Bridge    ③ NIC    ④ UTP

더보기

정답: ① Hub

▶ Hub는 네트워크 장비로 여러 대의 PC의 연결을 분배하는 역할

 

32. Windows 2003 Server의 계정 관리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관리자 계정(Administrator)은 삭제할 수 있다.

② Guest 계정을 사용 불가로 만들 수 있다.

③ 관리자나 계정 운영자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계정은 삭제할 수 있다.

④ 각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 이름에 의해 확인된다.

더보기

정답: ① 관리자 계정(Administrator)은 삭제할 수 있다.

▶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관리자 계정은 반드시 있어야 하고 삭제될 수 없다.

 

33. ICMP 메시지의 타입 번호와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타입 0 : Echo Request(에코 요청)

② 타입 3 : Destination Unreachable(목적지 도달 불가)

③ 타입 5 : Redirect(경로 재지정)

④ 타입 11 : Time Exceeded(시간 초과)

더보기

정답: ① 타입 0 : Echo Request(에코 요청)

▶ ICMP Type 0은 Echo Reply이다. Type 8이 Echo Request이다.

 

34.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바꿔주는데 사용하는 통신망의 주소 변환기술이다.

② NAT를 사용할 경우 내부 사설 IP 주소는 C Class를 사용해야만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③ 외부 침입자가 공격하기 위해서는 사설망의 내부 사설 IP 주소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공격이 어려워지므로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④ NAT를 이용하면 한정된 공인 IP 주소를 절약할 수 있다.

더보기

정답: ② NAT를 사용할 경우 내부 사설 IP 주소는 C Class를 사용해야만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 NAT는 사설 IP를 부여하여 IP 주소를 확대하는 것으로 C Class만을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35. 전기신호는 구리선을 토앟여 전송되며, 이는 먼거리를 이동하면서 크기가 약해진다. 이러한 현상을 뜻하는 것은?

① 감쇠(Attenuation)    ② 임피던스(Impedance)    ③ 간섭(Interference)    ④ 진폭(Amplitude)

더보기

정답: ① 감쇠(Attenuation)

▶ 감쇠(Attenuation)는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서 신호가 약해지는 것을 의미

 

36. 트랜스포트 계층의 주된 기능에 해당하는 것은?

① 망 종단 간 데이터의 전달

② 링크 간 프레임 전송

③ 노드 간 패킷 전송

④ 물리매체에 비트 열 전송

더보기

정답: ① 망 종단 간 데이터의 전달

▶ 트랜스포트 계층은 TCP와 UDP 프로토콜이 있는 계층으로 종단간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

 

37. Linux DNS의 SOA(Start Of Authority) 레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Zone 파일은 항상 SOA로 시작한다.

② 해당 Zone에 대한 네임서버를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자료가 저장된다.
③ Refresh는 주 서버와 보조 서버의 동기 주기를 설정한다.

④ TTL 값이 길면 DNS의 부하가 늘어난다.

더보기

정답: ④ TTL 값이 길면 DNS의 부하가 늘어난다.

▶ SOA의 TTL은 DNS 캐시 시간을 의미하며 길어지면 DNS 부하가 감소한다.

 

38. Routing 정책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Fixed Routing은 구성이 간단하나 네트워크 장애에 대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② Flooding은 가능한 경로를 모두 이용하기 때문에 매우 신뢰성이 높다.

③ Adaptive Routing에서는 트래픽 정보에 따른 반응이 너무 빠를 경우 Congestion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④ Random Routing은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트래픽 부하를 높일 수 있다.

더보기

정답: ④ Random Routing은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트래픽 부하를 높일 수 있다.

▶ 경로 설정 알로리즘은 고정 경로제어(Static Routing), 적응 경로제어(Adaptive Routing), 범람 경로제어(Flooding), 임의 경로제어(Random Routing)가 있으며 임의 제어경로는 인접하는 교환기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방법으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부하가 줄어든다.

▶ 고정 경로제어: 노드마다 접속하려는 상대방에 미리 번호를 붙여두고 경로를 결정

▶ 적응 경로제어: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른 동적 경로로 설정

▶ 범람 경로제어: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모든 경로로 패킷을 전송

▶ 임의 경로제어: 인접하는 교확기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방법

 

39. 무선 네트워크 방식은 전송 매체에 따라 구분된다.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적외선 방식    ② 레이저 방식    ③ 주파수 방식    ④ 시분할 방식

더보기

정답: ④ 시분할 방식

▶ 시분할 방식은 다중화 방식으로 시간 할당량만큼 채널을 점유하여 데이터를 송신

 

40. ICMP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① IP에서의 오류(Error) 제어를 위하여 사용되면, 시작지 호스트의 라우팅 실패를 보고한다.

② TCP/IP 프로토콜에서 데이터의 전송 서비스를 규정한다.

③ TCP/IP 프로토콜의 IP에서 접속 없이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기능을 규정한다.

④ 네트워크의 구성원에 패킷을 보내기 위한 하드웨어 주소를 정한다.

더보기

정답: ① IP에서의 오류(Error) 제어를 위하여 사용되면, 시작지 호스트의 라우팅 실패를 보고한다.

▶ ICMP는 네트워크의 에러를 검사하는 프로토콜이다. 네트워크 에러를 검출하고 호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41. OSI 7 Layer를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물리  데이터링크  전송  네트워크  세션  표현  응용

데이터링크  물리  전송  네트워크  세션  응용  표현

③ 전송 → 데이터링크 → 네트워크 → 물리 → 세션 → 표현 → 응용

④ 물리 → 데이터링크 → 네트워크 → 전송 → 세션 → 표현 → 응용

더보기

정답: ④ 물리 → 데이터링크 → 네트워크 → 전송 → 세션 → 표현 → 응용

▶ OSI 7 계층은 네트워크를 7개의 계층으로 분리한 것으로 하위 계층부터 물리, 데이터링크, 네트워크, 전송, 세션, 표현, 응용 계층으로 분리

 

42. Linux 명령어 중 현재 디렉터리에서 바로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하는 명령어는?

① cd..    ② cd ..    ③ cd .    ④ cd ~

더보기

정답: ② cd ..

▶ change directory 명령어로 한 칸 띄고 ".."를 입력하면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하는 명령어다. '.'는 현재 디렉터리로 이동한다.

 

43. 네트워크 담당자 Kim 사원은 'www.icqa.or.kr'의 IP 주소를 이 파일에 저장하여 사이트 접속 시 빠르게 실행하고자 한다. 각각의 컴퓨터에는 IP 주소와 그에 해당하는 컴퓨터 이름을 저장해 놓은 파일이 있다. 이 파일의 저장경로와 파일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C:\Windows\System32\hosts
② C:\Windows\System32\config\hosts

③ C:\Windows\System32\drivers\hosts

④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더보기

정답: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 hosts 파일은 DNS가 질의를 할 때 가장 먼저 참조하는 파일.

 

44. 라우터(Router)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물리적인 주소를 참조하여 데이터 패킷을 Forwarding한다.

②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길이를 확장하여 하나의 충돌영역을 갖는다.

③ 신호나 커넥터의 연결 형태를 다른 형태로 바꾸어 주는 장비이다.

④ 패킷 전송 시 논리적인 주소인 IP Address를 기초로 하고 OSI 참조 모델 중 3계층 장비이다.

더보기

정답: ④ 패킷 전송 시 논리적인 주소인 IP Address를 기초로 하고 OSI 참조 모델 중 3계층 장비이다.

 

45. Linux의 각 디렉터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bin: 추가된 응용 프로그램 패키지가 설치되는 디렉터리이다.

 /lib: 각종 라이브러리가 저정된 디렉터리로 커널 모듈도 이곳에 설치된다.  

 /usr: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데 필요한 모든 명령과 라이브러리 및 메뉴얼 페이지가 저장된다.
 /root: 루트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로 루트 사용자만 접근 가능하다.

더보기

정답: ① /bin: 추가된 응용 프로그램 패키지가 설치되는 디렉터리이다.

▶ bin 디렉터리는 기본적인 실행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다.

 

46. Linux 시스템에서 사용자 계정 정보를 수정하는 명령어는?

① usermod    ② config    ③ profile    ④ passwd

더보기

정답: ① usermod

▶ 생성된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usermod 명령어를 사용하며 UID, GID, 홈 디렉터리, 주석, 계정 만료일, 기본 셀 등을 변경할 수가 있다.

 

47. SOA 레코드의 설정 값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주 서버: 주 영역 서버의 도메인 주소를 입력한다.

② 책임자: 책임자의 주소 및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③ 최소 TTL: 각 레코드의 기본 Cache 시간을 지정한다.

④ 새로고침 간격: 주 서버와 보조 서버간의 통신이 두절되었을 때 다시 통신할 시간 간격을 설정한다.

더보기

정답: ② 책임자: 책임자의 주소 및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 SOA(Start Of Authority): 해당 도메인의 주 DNS 서버에 SOA를 할당하여 데이터를 캐시에 저장할 수 있는 기간을 지정한다.

▶ 주 서버, 책임자 전자우편 주소, 시간 간격을 지정

 

48. 다음 지문에 표기된 IPv6 주소는 요약된 표현이다. 보기 중 요약되기 전 상태는?

2000 : AB : 1 :: 1 : 2

① 2000:00AB:0001:0000:0001:0002

② 2000:00AB:0001:0000:0000:0000:0001:0002

③ 2000:AB00:1000:0000:0001:0002

④ 2000:AB00:1000:0000:0000:0000:0001:0002

더보기

정답:  2000:00AB:0001:0000:0000:0000:0001:0002

▶ IPv6는 128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16비트씩 8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위 0은 생략되어 있기 때문에 AB는 00AB, 1과 2는 각각 0001, 0002이고 ::는 0000이 생략되어 있어 표시해주면 된다.

 

49. 데이터 전송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반이중 방식: 데이터는 수신측 또는 송신측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될 수 있고, 전송 방향을 바꿀 수가 없다.

② 전이중 방식: 데이터가 수신측, 송신측 양쪽 방향으로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③ 단방향 방식: 데이터가 수신측, 송신측 양쪽 방향으로 전송될 수 있지만, 동시에 전송할 수는 없다.
④ 주파부 분할 이중 방식: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시간적으로 상향, 하향을 교대로 배정하는 전송 방식이다.

더보기

정답: ② 전이중 방식: 데이터가 수신측, 송신측 양쪽 방향으로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 단방향: 단일 방향. 키보드, 모니터

▶ 반이중: 각 지국은 송수신이 가능하다 동시에 송수신이 불가능. 워키토키, 방송용 라디오

▶ 전이중: 각 지국은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 전화 네트워크

 

50. SAMBA를 통해서 할 수 있는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일 시스템을 공유할 수 있다.

② 서버와 클라이언트에 설치되어 있는 프린터들을 공유할 수 있다.

③ 클라이언트들이 지역 네트워크 호스트들을 볼 수 있도록 한다.

④ 메일 서버에 담긴 편지들을 자신의 컴퓨터로 가져올 수 있다.

더보기

정답: ④ 메일 서버에 담긴 편지들을 자신의 컴퓨터로 가져올 수 있다.

▶ SAMBA는 인터넷에서 파일 및 프린터를 사용할 수 있는 Freeware 소프트웨어로 유닉스, 리눅스 등의 운영체제에 설치되어 사용한다. 삼바를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로 프린터를 공유할 수 있게 해준다. 메일 서버에 담진 편지를 읽는 것은 POP3 혹은 IMAP 프로토콜이다.

 

 

반응형